2025년 6월 21일 토요일

2016.02 ~ 2025.16.17


 



Samsung ATIV 5

(2016.02 ~ 2025.16.17)


제 20대를 함께했던 생애 첫 번째 노트북이 제 옆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에뮬레이터 MAME, FBNEO, GGPO, 파이트케이드 부터,

고전게임 넷플 오버클럭 프로젝트를 지나

메탈슬러그 XX의 핵판, 메탈슬러그 77까지.


지금까지 에뮬레이터와 메탈슬러그를 위한 제 조그마한 기여들은 모두

위의 파트너가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입니다.


이미 교체시기가 지나면서 연장근무와 초과근무를 몇 수년을 했지만

그동안 고집불통의 주인 옆에서 묵묵히 자신이 할 수 있는 일들을 하다가

이제서야 곁에서 보내주게 되었습니다.


한국 메탈슬러그 유저 "잔소드(Zansword)", "참철이"의 행적에 큰 기여를 남겨준

삼성 아티브북 5의 마지막 순간을 남겨놓습니다.

2025년 6월 8일 일요일

[개발일지]250608

 3일 연휴 덕분에 어느정도 성과가 있었습니다.

아직은 갈길이 멀지만, 처음 공부하는 영역에서 무언가를 배우고 익히는

과정은 나쁘지 않군요.





2025년 6월 5일 목요일

[개발일지]250605

 


겨우 이전에 만들어진 진도까지 재구현은 성공하였음.

그러나 방 목록과 세부적인 부분은 아직 갈길이 멀다.

확실히 open ai를 활용하기 시작한 코딩은 개발의 진전은 확실하지만,

그만큼 얻어가는 것이 줄어드는 것은 참으로 씁쓸한 느낌...


2025년 6월 1일 일요일

[개발일지]250601_재시작 1일차

 250601

1. 기존의 망가진 프로젝트를 복구하는 데 성공, 프로젝트 재개가 가능해졌음

2. 현재 대부분의 UI는 완성이 되었으나, 세부적인 기능의 대한 구성요소가 불안정함.

3. 이미지 로드 및 채팅의 구현, 서버에서 사용자와 방 목록을 불러오는 이벤트 처리가 급선무일 것으로 판단됨.




2024년 12월 31일 화요일

얼마 남지 않은 한조각의 그림

 


긴말은 하지 않겠습니다.

모든 것을 끝내고,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2024년 2월 6일 화요일

[MSH]메탈슬러그 시리즈 전문 해커 'wang hua'의 인터뷰

제 '파이트케이드 오버클럭 및 핵판 플레이 프로젝트'의 파트너 Alice가 네오지오 메탈슬러그 시리즈 전문 해커 wang hua의 인터뷰를

진행하여 그 내용을 공유하였습니다. 흥미로운 내용들이 다수 있어 공유해봅니다.  


중국의 ROMs 해킹의 선구자인 'wang hua'와의 앨리스 인터뷰. 

인터뷰는 Alice에 의해 스페인어로 번역되었습니다. 즐거운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한국어 번역 : PAPAGO, 검수 및 보정 : 참철이)


Q1 : 메탈슬러그를 알게 된 계기는?


A1 : 6학년 때 오락실에서 Metal Slug 3 덕분에 알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 제가 가장 좋아하는 게임은 The King of Fighters 97이였습니다.


Q2 : Metal Slug의 ROMs 해킹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무엇입니까? 독학입니까? 아니면 누가 가르쳐 준 것입니까?


A2 : 나는 Metal Slug X를 플레이하는 것에 매료되었고 

나중에 Magnetic Storm으로 알려진 전설적인 해커가 

Metal Slug X Enemy Reset Edition이라는 해킹 버전을 발표하여 나의 관심을 사로잡았습니다. 

나는 Magnetic Storm을 롤모델로 참고하여 이러한 수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참고: Magnetic Storm은 mslug4lw, '메탈슬러그4 최후의탄도' 제작자)


Q3 : 당신의 첫 번째 해킹 프로젝트는 무엇이었습니까? 그 경험은 어땠나요?


A3 : 나의 첫 번째 출시는 Metal Slug X Qing Edition(메탈슬러그X 청판) + Enemy Reset이었고 나는 그 과정을 매우 즐겼습니다.

(메탈슬러그X 청판의 능력치 시스템 + 적군배치 변형 버전)


Q4 : 신인분들을 위한 ROMs 해킹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A4 : MAME 에뮬레이터 디버그 기능은 일반적으로 적이나 물체의 방향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그런 다음 ROM 파일을 찾아서 수정합니다. 68k CPU에서 이런 방향을 찾기 위해서는 

게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인내심이 필요한 과제다. 해킹을 개선하기 위해 다른 도구를 사용하지만,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는 것이 좋습니다.


Q5 : ROM 해킹을 시작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어떤 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A5 : 엄격한 요구사항은 없습니다. 해킹의 세계는 광대합니다. 필요한 것은 열정, 인내, 창의력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Q6 : Metal Slug의 ROMs 해킹에 가장 큰 장해물은 무엇입니까?


A6 : 지시에 대한 이해 부족. 처음의 해킹은 종종 혼란스러운 정보의 부족, 그리고 더 나아가 첨단 지식을 보유하고 혁신을 갈망하기 때문에 극도로 복잡하다.


Q7 : Metal Slug의 어떤 버전이 가장 해킹이 어려웠나요? 왜?


A7 : 첫 번째 버전은 프로그래밍이 다른 버전과 크게 다르기 때문에 가장 어렵다. 

이는 기존 해커의 부족과 이를 감히 조작하는 이들이 교사(멘토)로 간주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Q8 : 공유할 해킹 작업에 대해 특별하거나 흥미로운 일화가 있습니까?


A8 : 해킹 중에 일어난 일화와 발견은 많습니다. 

마치 게임을 다른 관점에서 보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Metal Slug 3에서는 미션4 보스는 레이저를 방출할 때 보스를 치면 공격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플레이어가 출시 이후 숨겨진 측면을 발견할 수 있도록 이러한 세부 사항을 공개하려고 합니다. 

각각의 변형은 제가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게 해줍니다.


Q9 : 해킹의 안정성과 도박성을 보장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합니까?


A9 : 저는 커뮤니티가 오류 탐지에 협력할 수 있도록 GOTVG 플랫폼에 제 창작물을 업로드합니다. 

이 채널(QQ롬해킹그룹)을 통해든 개인 그룹을 통해든 간에 오류 탐지에 대해 알려주면서 수정합니다.


Q10 : 커뮤니티의 다른 해커들과 협력한 적이 있습니까? 그렇다면, 그 경험은 어땠을까요?


A10 : 저의 첫 번째 협업은 마그네틱 스톰과 함께 "메탈 슬러그 X: Extreme Space Edition(mslugxlb)"이었습니다. 

그 당시, 그의 글이나 지시를 이해할 수 없었고, 적을 대체하는 데만 국한되어 매우 힘들고 매우 도전적이었습니다.


Q11 : 메탈슬러그 수정에 대한 게이머 커뮤니티의 반응은 어땠나요?


A11 : 저는 상당한 지지를 받았습니다.

여러 가지 수정의 저자로서, 나는 사람들이 내 작품을 즐기고 있다는 것에 만족합니다. 마지막은 즐기는 것이다.


Q12 : 해킹된 메탈슬러그 버전을 테스트하는 데 관심이 있는 플레이어에게 어떤 조언을 해줄 수 있습니까?


A12 : 대부분의 수정판은 난이도가 높아 초보라면 더 낮은 수준으로 조정하는 것이 좋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세요. 실패는 당신이 잘 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당신은 결국 뛰어난 선수가 될 것입니다.


Q13 : 당신의 해킹이 저작권을 존중하고 어떤 법도 위반하지 않도록 어떻게 보장합니까?


A13 : 해커로서, 제 일은 공동체를 위한 것입니다.

제 해킹을 즐기는 것은 무료입니다. 저는 열정적으로 해킹을 합니다. 

논란을 일으키려는 의도는 아니었지만, 항상 책임감 있게 행동하고 정치적 함의를 의식하며 행동하면서 

메탈슬러그 커뮤니티에 기쁨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이유를 아는 사람은 저밖에 없습니다

.

Q14 : ROMs 해킹이나 수정을 통한 고전 게임 보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14 : 대중이 좋아한다면, 그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제 임무는 이 게임들의 유산의 영속성에 기여하는 것입니다. 

저는 우리가 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굳게 믿습니다.

나는 미래 세대가 비디오 게임 해킹 분야를 계속 탐구하기를 바란다.


Q15 : 특별히 당신을 흥분시키고 기꺼이 공유할 미래 프로젝트가 있습니까?


A15 : 지금으로서는 비밀로 하고 싶습니다. 정말 놀랄 일입니다.


Q16 : Metal Slug를 넘어, 해킹이나 수정에 관심이 있는 다른 게임이 있습니까?


A16 : 저는 다른 게임들을 수정할 계획이 없습니다. 상당히 복잡한 작업이죠.


Q17 : ROMs 해킹과 나머지 책임이나 취미 사이에서 당신의 시간을 어떻게 관리합니까?


A17 : 수정하는 것은 동시에 저의 취미이자 대단한 열정입니다. 제가 전적으로 그 일을 하고 있어요. 

나는 인생에서 다른 의무가 있지만, 적당한 균형을 유지하는 데 성공한다.


Q18 : 해킹 과정에서 가장 즐겨 쓰는 것은 무엇이며, 그로부터 어떤 개인적인 이익을 얻는가?


A18 : 제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프로젝트를 끝내고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ROMs 해킹은 나에게 시간을 즐기는 방법이며 다른 사람들이 내 일을 즐기는 것을 보고 나에게 독특한 만족감을 준다.


Q19 : 이 인터뷰의 독자분들에게 보내고 싶은 메시지는?


A19 :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 인터뷰에 대해 앨리스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안녕히 주무세요, 여러분🖤✨

2024년 1월 13일 토요일

[Retropie]레트로파이 코어 mame2010 철권 태그 토너먼트 그래픽 수정 버전



 (기존의 mame2010 core의 철권태그 토너먼트)

우측의 체력바가 잘려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재컴파일한 mame2010 코어입니다.

우측의 체력바가 정상적으로 표시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던 소울칼리버1 현상역시 해결되었습니다.


해당코어는 깃허브 릴리즈에 올려놓았습니다.

https://github.com/Zansword/mame2010-libretro/releases/tag/1.0

해당 코드를 수정해주신 "leejunghun"님께 감사드립니다.

2023년 7월 7일 금요일

메탈슬러그:각성 관련 블로그를 따로 개설하였습니다.

[메탈슬러그:각성에 대한 자료들을 따로 정리하는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

자세한 자료들은 이곳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msawakeningreport.blogspot.com/



2023년 4월 14일 금요일

[카일레라] 카일레라 레트로아크(Rarch) 사용중 발견해낸 싱크갈림의 원인 중 하나 - gpu threading

 



    2023-04-14 기록.

카일레라 넷플레이가 가능한 레트로아크 Rarch 테스트 중 놀라운 요소가 하나 발견.

그것은 GPU와 CPU를 동시에 처리하는 Multi-threading이 싱크 갈림에 영향을 미친다는 요소이다.

레트로아크에 있는 quick menu - performance - thread rendering 옵션을 활성화한 뒤에는 넷플레이가 갈려버렸지만, 해당 옵션을 끄고 넷플을 진행한 결과 위와 같은 결과물이 나왔다.

아마 마메 에뮬레이터에서도 갈리는 현상을 생각해보면, multi-threading 작업 자체가

넷플 싱크갈림에 있어서 영향을 미쳤다고밖에 설명을 하지 못할 것이라 보인다.



 카일레라 네트워크에서 테스트한 3인플 flycast 플레이 - power stone 2

아마 지금까지 싱크갈림에 대한 문제 해결법에 있어서 중대한 요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여 기록. 아마 flycast 넷플이 갈림현상이 있다면 아마 위와 같이 GPU multi-threading 처리 여부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을것이라 생각이 든다.




2023년 4월 11일 화요일

[카일레라] 카일레라 지원 레트로아크 Rarch 1.10.3


 Kaillera Reborn에 공개된

카일레라 넷플레이를 지원하는 변종 레트로아크 프로그램 Rarch입니다.

(개조자 : You_are_doomed)

몇몇 게임들의 테스트환경을 구축하여 공유합니다.

코어는 최신마메 mame 0.251 및 fbneo입니다.

해당 빌드는 유니코드가 포함되어있지 않아 한국어 사용 불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 및 키설정은 동봉된 문서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운로드 링크 : https://archive.org/download/rarch-230411.-7z/RArch%28230411%29.7z

테스트 비디오







2023년 1월 6일 금요일

[메탈슬러그]메탈슬러그 시리즈 오버클럭 방법 정리(1,2,3,4,5,X)

서론 : 여기에서 말하는 오버클럭의 정의 


네오지오 메탈슬러그 시리즈의 프레임 저하 현상을 보정하고

플레이하는 방법을 정의하며, 여기에서 서술하는 기능은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에서만

가능하며, 스팀버전은 불가능함.

설명하는 에뮬레이터의 리스트 및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MAME(모든 변종을 포함)

2. Winkawaks

3. Final Burn Alpha and Neo

4. Fightacade


1. MAME

1-1. 치트 기능 활성화



UI가 다르다 해도, 대부분의 MAME는 mame.ini 설정파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없을 경우, 한번 실행 뒤 종료하면 생성)

게임 설정에서 cheat를 활성화 한 뒤 게임을 실행


1-2. tab메뉴에서 slider control에서 확인

(onscreen display에서 설정 가능한 메뉴이기도 함)



마메 버전마다 최대로 설정 가능한 수치가 다를 수 있으니 참고, 또한 

해당 설정값은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수치를 미리 설정한 

세이브 파일을 하나 연동하는 게 편함


2. Winkawaks

게임 실행 뒤, 

[misc] - [configure 68000 frequency] 메뉴 사용(단축키 alt+F)



3. Final Burn Alpha and Neo

게임 실행 뒤, [Game] - [Adjust Cpu Speed] 메뉴에서 설정

4. Fightcade

파이트케이드의 FBNeo는 해당 기능을 UI에서 제거하여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필자가 별도로 만든 overclocker를 활용하면 간단하게 사용 가능

https://github.com/Zansword/Fightcade-Overclocker-Universial/releases



2023년 1월 1일 일요일

[Fightcade]파이트케이드 오버클럭 프로그램 " Fightcade Overclocker"

 





Fightcade Overclocker(2022-12-31 release)
c#으로 제작,
모든 에뮬레이터 버전에서 업데이트에 상관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slider 및 버튼 시스템으로 최대한 편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다만, 넷플 시에는 양쪽이 같이 사용해야한다는 점은 변함 없습니다.

다운로드 링크 : 깃허브

[MSXX]메탈슬러그 XX 핵판 "Metal Slug 77"

 


제작자 : 본인(참철이)
레벨 디자인 : topeng, ham3834

https://www.romhacking.net/hacks/7426/

국내이자 세계 최초의 XX 핵판입니다.
무기 아이템 배치 변경을 통해 난이도 하향 및 밸런스를 조절하는 것이 목적이었습니다.

2022년 10월 29일 토요일

[Fightcade2]Fcadefbneo Unofficial Build - Overclock Edition(0.2.97.44-52)

 



 2022-10-29 updated

Deleted useless function, 

some drivers which doesn't support fc2 server yet

1. Main Source Version Updated(v50 -> v52)

2. added some hacks and renamed

3. maximum overclock value upsized to 540%

[파이트케이드2]Fcadefbneo 비공식 빌드 - 오버클럭 에디션(0.2.97.44-52)


 2022-10-29 업데이트

기존의 필요없는 기능들, 

현재 파이트케이드에서 로비를 지원하지 않는 일부 롬을 제거하였습니다.


1.최신 버전 소스로 업데이트(v50 -> v52)

2. 일부 핵롬 이름 및 버전 변경

3. 오버클럭 최대수치 540%으로 증가

2022년 10월 14일 금요일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FBNeo편

 이전 포스트 목록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서론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MAME편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Winkawaks편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Nebula편


[Final Burn Alpha & Neo]

  1. 자동연사 

불안정
  1. 상태저장 및 불러오기

불안정
  1. 네트워크 플레이 가능 여부

가능
  1. 처리지연 보정 오버클럭 가능 여부

가능
  1. 버튼 조합의 매크로 기능

가능
  1. 프레임 안정도 및 최적화

안정
  1. 해킹롬 플레이 가능 여부

가능
  1. 롬파일 입수 난이도

★☆☆☆☆
  1. 에뮬레이터 설정 난이도

★★☆☆☆


1. 자동연사 : 프레임 기반으로 만들어진 오토파이어 기능이나, 최신버전까지도 불안정하게 끊기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파이트케이드에서 별도로 개조한 fbneo에서 또한 동일하게 발생되는 현상이다.


2. 상태저장 및 불러오기 : 파일이름을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하여 이론상 MAME만큼의 상태저장을 불러올 수 있다. 그러나, 상태저장 기능을 너무 남용할 경우, 에뮬레이터가 크래시 되어 종료되는 버그가 있다.


3. 네트워크 플레이 기능 : 카일레라 네트워크 플레이가 지원된다. 그러나 이를 변종으로 한 네트워크 플랫폼 GGPO, Supercade, Fightcade는 FBNeo의 이전 버전 Final Burn Alpha를 개조하여 서비스하였는데, RollBack 넷코드 기술을 통해 카일레라보다 안정적인 네트워크 플레이를 구현하였다. 현재는 Fightcade2, GGPOZ, GOTVG, YZKOF, Wufun게임즈 등의 고전게임 네트워크 플랫폼의 기본뼈대가 되는 에뮬레이터이다.


4. 처리지연 보정 오버클럭 가능 여부 : 카왁스, Nebula의 경우 hz로 표기하지만 FBNeo는 %로 조절한다. 공식 파이널번 기준으로 최대 400%로 설정할 수 있으며 메탈슬러그2 기준으로 깔끔한 오버클럭을 보려면 400~500%의 속도가 필요하다.


5. 버튼 조합의 매크로 기능 : 2022년 10월 기준으로 각 버튼 키의 조합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에뮬레이터가 업데이트 되었다. txt 및 ini파일을 별도로 수정하지 않고 키 설정에서 동일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6. 프레임 안정도 및 최적화 : 안정적인 프레임 속도를 보여주는 최적화를 보여주고 있지만, 세이브 로드의 불안정성이 남아있어 많은 업데이트가 필요하지만 공식 파이널번 팀에서 꾸준하게 활동하고 있어 장래적으로 기대가 되는 에뮬레이터이다.


7. 해킹롬 플레이 가능 여부 : 현재 필자를 포함한 일부 유저들이 파이트케이드 fbneo를 중심으로 하여 양질의 메탈슬러그 해킹롬을 플레이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또한 IPS 패치를 지원하기 때문에 앞으로도 다양한 해킹롬을 플레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8. 롬파일 입수 난이도 : archive.org에서 전용 롬셋을 구글을 통해 구할 수 있다.


9. 에뮬레이터 설정 난이도 : 단축키보다 마우스를 이용해서 메뉴 탭을 건드리는 방식으로 메뉴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한글 메뉴 설정파일도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직관적이며 쉬운편이다.


총평 : 현재까지도 개발, 발전되고 있는 가장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에뮬레이터

FBNeo는 그 이전에 Final Burn Alpha에서 시작하여 Final Burn Neo로 개명되었는데, 이는 개발자중 한명이 CAPCOM과 무단으로 계약을 맺어 사익을 취하는 사건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는 FBA의 기반이 되는 MAME의 라이센스를 위반하는 일이었고, 이 사건으로 Final Burn Neo로 개명된다. 이후 에뮬레이터는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고 mac, linux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대부분의 고전게임 네트워크 플랫폼이 이 에뮬레이터를 사용하여 만들어졌으며 현재 라즈베리파이를 통해 레트로 게임기 머신의 프로그램으로 활용되는 등 현존하는 에뮬레이터중에서 가장 범용성이 높은 에뮬레이터로 평가받게 있다. 


다음 포스트에서 계속...

2022년 10월 3일 월요일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Nebula편

이전 포스트 목록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서론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MAME편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Winkawaks편

[Nebula]

  1. 자동연사 

가능
  1. 상태저장 및 불러오기

가능
  1. 네트워크 플레이 가능 여부

가능(Kaillera)
  1. 처리지연 보정 오버클럭 가능 여부

가능
  1. 버튼 조합의 매크로 기능

가능
  1. 프레임 안정도 및 최적화

안정
  1. 해킹롬 플레이 가능 여부

가능
  1. 롬파일 입수 난이도

★★★☆☆
  1. 에뮬레이터 설정 난이도

★★☆☆☆


1. 자동연사 : 매크로 기능을 응용한 기법으로 현존하는 에뮬레이터 중에서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자동연사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 너무 빠른 나머지 인풋렉을 체감할 수도 있다. 정확하게는 입력이 밀리는 현상이라 할 수 있겠다.


2. 상태저장 및 불러오기 : 12개의 슬롯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단축키가 고정되어 있다.


3. 네트워크 플레이 기능 : 카일레라 네트워크 플레이가 지원된다. 주파수 hz가 다른 에뮬레이터와 비교하여 조금 높은 편. 그러나 일부 프레임 처리지연은 일반 주파수와 다를 게 없다.


4. 처리지연 보정 오버클럭 가능 여부 : 64mhz가 최대로 설정된다. 메탈슬러그2 기준으로 깔끔한 프레임 재생속도를 보여주며, 대부분의 오버클럭 메탈슬러그 동영상은 64mhz로 설정되어 녹화되었다.


5. 버튼 조합의 매크로 기능 : 총 10개의 매크로 키조합이 가능하며, MAME처럼 본인이 원하는 조합으로 커스텀이 가능하다.


6. 프레임 안정도 및 최적화 : 안정적인 프레임 속도를 보여주는 최적화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자가 없기 때문에 세세한 인풋렉에 대한 사양은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7. 해킹롬 플레이 가능 여부 : ROMDATA파일을 수정하여 롬리스트를 수정하여 본인이 원하는 해킹롬을 리스트에 올려놓고 플레이 할 수 있는 변종 카왁스 버전들이 있다(Kawaks Plus 등).


8. 롬파일 입수 난이도 : 2000년대 후반 ~ 2010년도 초창기에 사용된 MAME의 버전이 기반이다. Winkawaks에서 제공하는 롬파일을 사용해도 되지만, 일부 롬셋이 완벽하게 맞지는 않다.


9. 에뮬레이터 설정 난이도 : 단축키보다 마우스를 이용해서 메뉴 탭을 건드리는 방식으로 메뉴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한글 메뉴 설정파일도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직관적이며 쉬운편이다.


총평 : Kawaks가 있기 전에 Nebula가 존재했었다.

Nebula는 2007년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가 된 고참급 에뮬레이터로, 현재 공식적으로 지원목록에서 메탈슬러그 5가 존재하지 않는 유일한 Neogeo 에뮬레이터일 것이다. 그러나 ROMDATA 기능을 통해, 유저가 원하는 게임을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만들어 놓았는데 이는 후에 해킹롬을 구동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재발견되었다. 2010년도에는 카왁스가 각광받고 있던 시기라, 당시 GOTVG에서 발견된 메탈슬러그 청판 및 일부 해킹롬을 구동하는 데 Nebula를 활용한 유저들도 있었지만, 이는 매우 극소수에 불과했었다. 또한 대부분의 기능들이나 디자인과 UI배치, 형식으로 볼 때 Winkawaks가 Nebula의 후속 에뮬레이터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매우 흡사한 구조이기 때문에 Nebula와 Winkawaks는 서로 후속관계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다음 포스트에서 계속...


2022년 9월 26일 월요일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Winkawaks편

이전 포스트 목록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서론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MAME편


[Winkawaks]

  1. 자동연사 

가능
  1. 상태저장 및 불러오기

가능
  1. 네트워크 플레이 가능 여부

가능(Kaillera)
  1. 처리지연 보정 오버클럭 가능 여부

가능
  1. 버튼 조합의 매크로 기능

가능
  1. 프레임 안정도 및 최적화

안정
  1. 해킹롬 플레이 가능 여부

불가능(변종 카왁스 가능)
  1. 롬파일 입수 난이도

★☆☆☆☆
  1. 에뮬레이터 설정 난이도

★★☆☆☆

1. 자동연사 : 매크로 기능을 응용한 기법으로 현존하는 에뮬레이터 중에서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자동연사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 너무 빠른 나머지 인풋렉을 체감할 수도 있다. 정확하게는 입력이 밀리는 현상이라 할 수 있겠다.


2. 상태저장 및 불러오기 : 10개의 슬롯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단축키가 고정되어 있다.


3. 네트워크 플레이 기능 : 카일레라 네트워크 플레이가 지원된다. 주파수 hz가 다른 에뮬레이터와 비교하여 조금 높은 편. 그러나 일부 프레임 처리지연은 일반 주파수와 다를 게 없다.


4. 처리지연 보정 오버클럭 가능 여부 : 64mhz가 최대로 설정된다. 메탈슬러그2 기준으로 깔끔한 프레임 재생속도를 보여주며, 대부분의 오버클럭 메탈슬러그 동영상은 64mhz로 설정되어 녹화되었다.


5. 버튼 조합의 매크로 기능 : 총 10개의 매크로 키조합이 가능하며, MAME처럼 본인이 원하는 조합으로 커스텀이 가능하다.


6. 프레임 안정도 및 최적화 : 안정적인 프레임 속도를 보여주는 최적화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업데이트가 중지되어 윈도우 업데이트가 계속됨에 따라 인풋렉이 체감된다는 제보가 늘어나고 있다.


7. 해킹롬 플레이 가능 여부 : ROMDATA파일을 수정하여 롬리스트를 수정하여 본인이 원하는 해킹롬을 리스트에 올려놓고 플레이 할 수 있는 변종 카왁스 버전들이 있다(Kawaks Plus 등). 이 기능은 NEBULA에뮬레이터에서도 있다.


8. 롬파일 입수 난이도 : Winkawaks 공식 홈페이지에서 전용 롬파일들을 업로드해놓았다. 그걸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9. 에뮬레이터 설정 난이도 : 단축키보다 마우스를 이용해서 메뉴 탭을 건드리는 방식으로 메뉴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한글 메뉴 설정파일도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직관적이며 쉬운편이다.


총평 : 2010년도에 가장 활발하게 쓰인 에뮬레이터

1.6X번대 업데이트 이후로, 리플레이 역시 안정적으로 나왔기 때문에 당대의 에뮬레이터중에서 가장 안정적인 녹화율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2010년 초반에 출범한 대한민국의 네임드급 고수들은 대부분 이 에뮬레이터를 사용하여 플레이 및 녹화를 하였다. 또한 CPS1, CPS2, 네오지오로 한정되어 게임을 지원하였기 때문에 당대의 에뮬레이터 중에서 매우 가벼운 편에 속하는 에뮬레이터였기 때문에 당시 아프리카TV에서 게임 방송활동이 활발하던 시기에 아프리카tv 스튜디오를 틀어놓고 게임해도 전혀 지장에 없을 정도로 높은 최적화를 보여주었던 에뮬레이터였다. 그러나 2016년도에 1.65버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업데이트가 나오지 않아 앞으로 윈도우가 업데이트 될 때마다 최적화가 불안정해질 것으로 전망되는 에뮬레이터이다.


다음 포스트에서 계속...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MAME편

우선 서론을 읽어보지 못한 분들은 먼저 서론을 읽고 오기를 추천한다.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서론


1. MAME - 모든 에뮬레이터의 근간이자 어머니같은 존재

우선 위의 기준대로 표를 작성해보면 MAME는 다음과 같다고 할 수 있다.

[MAME]

  1. 자동연사 

가능(버전마다 설정이 다름)
  1. 상태저장 및 불러오기

가능
  1. 네트워크 플레이 가능 여부

불가능(일부 변종에서 가능)
  1. 처리지연 보정 오버클럭 가능 여부

가능(단, 치트기능 필요)
  1. 버튼 조합의 매크로 기능

불가능(일부 변종에서 가능)
  1. 프레임 안정도 및 최적화

일부 불안정
  1. 해킹롬 플레이 가능 여부

불가능(일부 변종에서 가능)
  1. 롬파일 입수 난이도

★★★☆☆
  1. 에뮬레이터 설정 난이도

★★★☆☆

[각 항목에 대한 해설]

1. 자동연사 : 사실 자동연사기능은 공식 마메 버전에서는 제대로 지원이 되지 않았다.

대신 일부 변종 마메에서는 초창기부터 지원을 했었으며, 공식 MAME에서 제대로 지원되기 시기는 LUA 스크립트 플러그인을 공식적으로 지원할 때 오토파이어 스크립트 역시 구현이 되었고, 현재 배포되고 있는 최신버전에서는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단, 2000년대 후반의 MAME에서는 변종 MAME(Houba, Plus, Plus Plus)에서만 사용이 가능했었다. 따라서 구버전 MAME를 사용할 때는 이 점을 확실하게 확인해야 할 것이다.


2. 상태저장 및 불러오기 : 키보드 입력에 슬롯을 지정하여 로드하는 방식으로, 이론 상 가장 많은 상태저장 수를 저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3. 네트워크 플레이 기능 : MAME는 공식버전에서 넷플레이를 지원하지 않고 그 변종마메였던 MAME64K, Houba, Mame Plus Plus, EK-MAME 등 일부 구버전에서 넷플레이를 지원했는데, Kaillera라는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넷플레이를 구축하였다. 이 Kaillera기능은 다른 일부 에뮬레이터에서도 지원하는 기능이지만, 키 입력과 채팅만을 전송하는 한계로 싱크 갈림 및 렉 보정에 한계가 뚜렷한 구식 프로토콜이다. 현재는 4인플 용도, 철권 태그 토너먼트등 일부 게임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Clientservermame, MAMEHUB등 이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들이 나왔지만, 현재는 파이널 번 변종 버전 Fightcade로 대부분의 유저들이 몰린 상태이다.


4. 처리지연 보정 오버클럭 가능 여부 : 치트기능을 통해 설정가능, 하지만 이 기능은 에뮬레이터 설정으로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매번 실행할 때마다 설정해줘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MAME를 기반으로 하는 변종 에뮬레이터 모두에 해당하는 기능이다.


5. 버튼 조합의 매크로 기능 : 공식 마메에선 지원되지 않는다. 하지만 대부분 변종 마메에서는 지원되는 기능이다.


6. 프레임 안정도 및 최적화 : EK-MAME버전을 제외하고, 일부 프레임이 처리되는 과정에서 지워지는 현상이 있다. 최신버전 마메의 변종 에뮬레이터 arcade64는 해당 현상이 해결되었음


7. 해킹롬 플레이 가능 여부 : 공식 마메에서는 극히 일부만 지원하지만, PSMAME++, HBMAME, Houba, Ek-mame등 지원하는 에뮬레이터들이 있다. 또한 과거 해킹롬은 IPS패치 방식으로 공유되었는데 이러한 방식은 구버전 변종(Houba, EK-mame, MAME PLUS PLUS)에서 구동이 가능하다.


8. 롬파일 입수 난이도 : 일부 사이트에서 변종 마메나 archive.org에서 버전을 기반으로 검색하면 된다. 단, 바이오스에 경우 일부 파일이 빠져있을 경우도 있는데, 이럴 경우 해당 파일을 검색해서 찾으면 된다.


9. 에뮬레이터 설정 난이도 : 에뮬레이터 자체 설정은 대부분 탭(Tab) 메뉴로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영어만 된다면 충분히 쉽게 설정이 가능하며, 한글이 필요한 경우, EK-MAME를 사용하면 더 쉽게 설정이 가능하다.


10. 그 외 특징 : 디버거가 따로 있어 버그 수정할 때 사용되기도 하며, 대부분의 해킹롬이 이러한 디버거를 통한 코드 수정을 통해 제작된다. 만약 여러분이 해킹롬 제작이나 게임 상의 디버그 혹은 데이터를 분석해보고자 한다면 MAME를 사용하는 것은 필수가 될 것이다. 또한 일부 고전게임 인터넷 방송에서 배속 플레이를 보여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현재 MAME만 가능한 기능이다. 


총평 : 사실상, MAME가 오픈소스가 되었기 때문에 수많은 에뮬레이터가 변종이 되어 나왔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이 MAME는 에뮬레이터에 있어서 커다란 존재이다. 당장 메가 엔터프라이즈의 포포루 역시 MAME를 기반으로 소스를 수정하여 서비스를 한 만큼, 당시 저사양으로도 돌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목표로 하였기 때문에 저사양으로도 충분히 실행이 가능하다. 모든 아케이드 기기를 구현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꾸준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메탈슬러그만을 한다면, 2010년대 초반에 개발된 구버전으로도 충분히 사용가능하다. 단, 당신이 최신버전의 MAME를 사용할 경우, 실행파일이 워낙 크기 때문에(지원하는 게임이 많아졌기 때문) 실행속도가 비교적 차이가 날 것이다. 만약 당신이 3D게임(ex. 철권)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면 MAME는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지면이 허락하지 않는 관계로 일단 MAME에서 일단락 맺기로 하고, 다음 포스트에선 Winkawaks를 다뤄보도록 하겠다.

2022년 9월 25일 일요일

[2022]메탈슬러그 입문을 위한 에뮬레이터 추천 - 서론편

서론

 본 게시글은 SNK의 메탈슬러그 시리즈를 플레이 해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포스트로,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작성해보는 글이다. 만약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이 메탈슬러그를 어떻게 구동시켜서 플레이하는지, 아니면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지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알맞게 찾아왔다고 말할 수 있겠다.


1부 - 메탈슬러그 프로그램 구조

 만약 에뮬레이터, 롬파일의 개념을 알고 있는 세대라면 1부는 넘어가도 좋다.

현재 온라인게임들과 스팀과는 다르게 기존의 콘솔게임기, 오락실 아케이드 세대의 게임들은 아래의 이미지처럼, 게임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기계"와 게임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매체덩어리"가 필요했다.


[출처 : 2D 그래픽의 끝판왕 메탈슬러그3 - Last Fantasy님 유튜브]

메탈슬러그3가 들어가 있는 매체덩어리와 프로그램을 읽을 수 있는 "기계"

이 두가지가 충족되어야 게임이 구동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분들이 필요한 파일들은 다음과 같다.

1. 메탈슬러그3가 들어가있는 데이터 "롬파일"

2. 롬파일을 읽을 수 있는 기계 "에뮬레이터 프로그램""바이오스", 펌웨어같은 개념으로 보면 된다.


그리고 이 포스트는 2번,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에 중점을 두어서 작성하였다.

에뮬레이터가 결정되면, 롬파일은 에뮬레이터를 기반으로 검색하면 되기 때문이다.


2부 - 아케이드 환경 소개

우선 먼저 메탈슬러그 시리즈를 살펴보자. 이번 포스트는 정식 넘버링 시리즈를 중점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아케이드용) 메탈슬러그 정식 넘버링 시리즈는 다음과 같이 출시되었다.

메탈슬러그 1,2,3,4,5,x - Neogeo MVS

메탈슬러그 6 - Sega Atomiswave

메탈슬러그 7 - Nintendo DS(NDS) - 콘솔용만

메탈슬러그 XX - Playstation Portable(PSP) - 콘솔용만


여기서 Neogeo MVS(이하 MVS)의 경우 굉장히 많은 에뮬레이터가 있지만, 6,7,XX의 경우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선택지가 별로 없을 것이다. 따라서 MVS 에뮬레이터를 먼저 설명한 후 그 이후에 간단한 소개를 작성할 것이다.


3부 - 선정 및 평가기준

이 글을 읽는 사람이, 단순한 즐겜 용도가 아닌, 본격적으로 파보자 하는 사람들을 주로 대상으로 선정하였는데, 왜냐하면 사람마다 용도가 다르며, 이에 따라 필요한 에뮬레이터가 다를 수도 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필자가 그동안 메탈슬러그에 몸담은 경험을 토대로 여러분들이 중요하게 생각할 만한 기능들을 기준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각자에 필요에 따라 취사선택을 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길 바란다.


  1. 자동연사 


  1. 상태저장 및 불러오기


  1. 네트워크 플레이 가능 여부


  1. 처리지연 보정 오버클럭 가능 여부


  1. 버튼 조합의 매크로 기능


  1. 프레임 안정도 및 최적화


  1. 해킹롬 플레이 가능 여부


  1. 롬파일 입수 난이도


  1. 에뮬레이터 설정 난이도



[각 항목에 대한 해설]

1. 자동연사 : 자동연사 기능, 줄여서 오토파이어, 연사. 

누르고만 있으면 키가 알아서 눌러지는 기능으로 수시로 총키를 연타해야하는 유저들에게 피로감을 덜 해주는 기능이다. 하지만 스피드런이나 스코어링등 "공정성"이 요구되는 세계에서는 이 기능은 금지하는 것이 암묵적 룰인 기능이다.


2. 상태저장 및 불러오기 : 일정 구간에서 저장했다가 실수가 나왔을 때 그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

대부분의 메탈슬러그 고수들도 이 기능을 통해서 빌드를 연구하고 연습하는데 사용했었으며, Tool Assistant Speedrun, 줄여서 TAS비디오를 만드는데 이 기능이 사용되기도 한다. 연습용으로만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세이브로드에 의존하는 플레이어들과 그렇지 않은 플레이어간의 역량 차이는 어마어마하게 난다. 이 기능을 통해서 소위 "이어붙이기" 꼼수로 원코인 및 노미스 클리어 영상이라 주장하는 경우가 있는데 당연히 이렇게 만들어진 영상들은 고수들 사이에서 인정되지 않는다. 당연히 스피드런이나 스코어링등에선 금지된 기능. 단 TAS는 Tool을 사용하는 것이 인정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


3. 네트워크 플레이 기능 : 네트워크 플레이 기능. 원격으로 팀플레이를 할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 대부분 Kaillera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4. 처리지연 보정 오버클럭 가능 여부 : 네오지오 메탈슬러그는 2D 그래픽을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릴정도로 수준높은 그래픽을 보여주지만, 그만큼 기판에 부하를 주는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메탈슬러그2의 경우, 오버클럭 기능이 없으면 매우 답답한 속도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현재 에뮬레이터 기능으로 보정이 가능하다. 이 기능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에뮬레이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이를 네트워크 플레이에서 활용할 방법 역시 계속 연구되고 있다. 필자 역시 그 중 한 명이기도 하다.


5. 버튼 조합의 매크로 기능 : 사실 Neogeo 메탈슬러그에서 이 기능을 사용 할만 한 건 총 + 점프(자폭키) 밖에 없어서 대부분의 에뮬레이터에서 지원하는 기능이지만, 일부만 지원되는 에뮬레이터에서도 이 기능이 충분히 지원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6. 프레임 안정도 및 최적화 : 일부 Mame 에뮬레이터에서는 일부 프레임이 과부화되면 스프라이트가 삭제되는 현상이 남아있다. 아래 스샷은 MAME Plus Plus 0.132u1에서 캡쳐된 메탈슬러그2 이미지로, 플레이어 두 명이 F샷을 동시에 쐈을 때, 그 기판 처리의 과부화로 캐릭터 스프라이트가 삭제되는 현상을 포착한 것이다.


7. 해킹롬 플레이 가능 여부 : 메탈슬러그 시리즈 또한 수많은 해킹롬, 개조롬들이 많이 나온 상황이다. 이러한 해킹롬을 지원하는 것 역시도 현재는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이다.


8. 롬파일 입수 난이도 : 롬파일의 입수 방법은 기본적으로 구글링이지만, 세부적인 검색기능이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사이트에서 제공되거나 루트가 있는 경우 또한 존재한다.


9. 에뮬레이터 설정 난이도 : 에뮬레이터의 설정 방법, 키설정 및 일부 그래픽 설정에 대한 난이도를 평가한 항목이다.


각 에뮬레이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시작한다.


4부 - Neogeo MVS(1,2,3,4,5,X)

우선 네오지오 MVS의 경우 오래전부터 에뮬레이터가 개발되어 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모든 아케이드 에뮬레이터의 모체이자 집합체인 MAME부터 최근까지 개발되고 있는 파이널 번, 심지어 다운로드 받을 필요도 없이, 웹사이트에 플래시게임처럼 구현되어 다운로드 받지 않고 게임을 즐길 수 있을 정도로 에뮬레이터의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PC에서 구동할 수 있는 에뮬레이터의 목록은 자세한 설명은 "나무위키/에뮬레이터"의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여기에선 "2007년부터 2022년도"까지 대한민국 메탈슬러그 세계의 사람들에게 사용된 에뮬레이터를 선정해보았다.


1. MAME

2. Winkawaks

3. Nebula

4. Final Burn Alpha & Neo


5부 - 이후 버전(6,7,XX)

1. DEMUL(6)

2. NULLDC(6)

3. FLYCAST(6)

4. NO$BA(7)

5. DESUMUNE(7)

6. PPSSPP(XX)


그리고 보너스로 프론트엔드, Retroarch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풀어보겠다.

특별편. RetroArch(1,2,X,3,4,5,6,7,XX)


서론은 여기까지, 다음은 포스트에서 4부의 시작, MAME부터 시작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