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월 18일 목요일

[MAME]철권 태그 토너먼트 넷플 최적화 연구결과(테스트가 필요)

2022-04-07 추가

기존의 후바 에뮬레이터(0.125) 대체용으로

0.132u1 버전을 기반으로 한 에뮬레이터를 개조성공.

본 에뮬레이터로 테스트해볼 것을 권장한다.

https://chamcham425.blogspot.com/2022/03/mame-plus-plus-0132u1.html


[개요] 


지난 몇 일간 현실에 집중하고 있는 동안 가끔씩 철권 태그 토너먼트에 대해 연구를 진행해보면서 몇가지 정리된 것들이 있다.

우선 도움을 요청하신 유튜브 스트리머님께선 다음과 같은 점을 강조해주었다.


1. 다같이 할 수 있는 문화와 환경의 구성 및 커뮤니티의 접근성이 우수해야함 

2. 접근성이 뛰어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3. 현재 사용되는 에뮬레이터의 최신화가 필요

4. 서버렉과 인풋렉을 없앤 P2P환경이 필요하다.


그리고 현재 철권 태그 토너먼트 넷플레이는 후바마메 ppk 구버전으로, PSX플러그인을 강제로 설정하여 그래픽 및 속도를 설정하여 플레이를 하는 방식이 최선으로 꼽히고 있다.

우선 필자의 결과로는 현재 철권 태그 토너먼트, 줄여서 태그1을 구동할 수 있는 에뮬레이터가 "MAME"에 한정되어 있는 지금으로서는, 마메 카일레라가 1,2,3을 다 잡을 수 있는 환경이다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필자가 연구한 레트로아크의 경우, 3번과 쾌적한 환경조성은 가능했지만 안타깝게도 현재 태그1을 추억삼아 다시 만지려고 하는 30~40대에게는 너무나도 장벽이 무겁기 때문이며, 이미 카일레라에서는 오래되었고, 그만큼 굳어져있는 문화였기 때문에 새로운 걸 시도해보는 것 역시 매우 난이도가 높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다가 업로드한 레트로아크 철권 넷플 영상을 보면서 생각난 점이 있었다.

레트로아크의 그 깔끔한 프레임과 인풋렉은 과연 어떻게 나오는 것일까. 왜냐하면 결과적으로 소스코드는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그렇게 큰 차이는 없던 것이다. 영상을 보다가 결정적인 포인트를 찾아냈는데, 그것은 바로 레트로아크에서 실험했던 환경은


INTERNET환경이 아닌, LAN. 즉, 로컬 연결에서 테스트하여 성공한 결과였다.


그렇다면, 만약 카일레라에서도 P2P가 아니더라도 로컬 영역의 서버를 작동시켜서 넷플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

여기서 단서를 잡은 필자는 한가지 가능성을 찾아냈는데, 바로

Fury Kaillera, 즉, 퓨리 카일레라라는 녀석이었다.


Fury Kaillera는 국내에서 카일레라가 한창 열풍이던 당시, 렉과 버그가 심각했던 카일레라UI를 다듬어 방폭 및 섭폭 버그를 잡고 몇가지 기능을 추가한 버전으로, 던전앤드래곤 커뮤니티에선 이미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카일레라이다.

개인적으로 굉장히 좋게 생각하고 있는 기능이 있었는데

1. 서버를 여러개 접속해놓고 탭으로 정리할 수 있다.

2. 개인서버를 열어 로컬영역으로 잡아 테스트가 용이했다.

3. 구버전에서 잡히지 않는 몇몇 서버가 포착이 가능했다.

비록 P2P까지 완벽하게 구현하지 못하고 본진이 폭파되어 업데이트가 중지된 버전이지만, 이만해도 쓸만한 카일레라 버전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것으로 몇가지 건드려본 결과,

[퓨리 카일레라의 로컬 영역 연결을 서버화하여 연결하면 레트로아크의 넷플을 재현할 수 있다]

즉, 2번을 이용하여 레트로아크의 넷플을 구현할 수 있다.라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그 가능성이 보인 것이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이유이다.


[테스트 준비물]

우선 필자가 준비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다.

MAME Plus Plus 0.164 - 스트리머님께서 가장 최적화가 잘된 에뮬이라고 설명해주셨다.

[치트기능 활성화, 창모드로 실행, 최대화면으로 실행 해제] - 그 이외는 기본설정

철권 태그 NVRAM - 오프라인 게임에서 올캐릭 세이브를 적용시켜놓았다.

철권 태그 넷플 세이브파일 - 오프라인에서 만든 세이브파일이 넷플에서 적용이 되지 않아 고생좀 했다. 다음과 같이 설정해놓았다. 출처를 참고하여 그대로 작성해놓은 파일이다.

출처 : https://cafe.naver.com/retrocenter/148


올캐릭 사용가능

프리플레이

컴퓨터 대전시 3판2 라운드

플레이어간 5판3 라운드

중립가드 on

+1 셋팅

오락실 셋팅으로 변경해놨습니다

추후 넷플은 해당 셋팅으로 변경해야 할 필요성이 있어

미리 만들어두었습니다

+ 그래픽 해상도 설정 (Non interlace-> interlace)

해당 패키지 구글 드라이브 : 링크

독자 여러분들은 그냥 롬파일만 각자 준비해주면 된다. - 현재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후바마메 버전을 사용하면 된다.


[테스트 과정]

우선 간단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 로컬 서버를 하나 준비한다.(개인이 해도 되고, 아니면 서버 호스팅자에게 lan으로 설정해놓고 address를 받으면 된다)

2. 철권 서버에 들어가서 커뮤니티를 형성해놓고, 사람을 구한다.

3. 미리 준비해놓은 로컬 서버에 접속한다.

4. 일반적으로 게임을 시작한다.


퓨리 카일레라는 여러개의 서버를 동시에 접속이 가능하다. 그래서 2,3번을 동시에 접속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여기서는 서버를 파는 입장에서 설명을 해보겠다.

게임하는 본인이 해도 상관없다.

우선 한가지를 먼저 확인해본다.

Options - Kaillera Server Options


Server IP에 있는 Check버튼을 눌러 자신의 개인 서버의 IP를 미리 복사해놓는다.
본인의 실제 IP주소와는 다르게 표시되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필자는 그랬다.)

+추가
kaillera폴더에 있는 conf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필요한 내용을 수정한 뒤에 사용한다.



혹시 모르니, whatismyip를 구글에 검색해서 확인해봐도 좋다.
check버튼을 누르고 확인을 눌러서 저장해놓자.

확인이 끝났으면 Kaillera Netplay에 접속해서 카일레라 실행기를 접속한다.
유저 이름과 연결형태가 나와있다. 우선 철권 커뮤니티로 접속해보자.
상단의 카일레라 탭을 누르고, 하단에 Refresh List를 누르면 잠시뒤 서버가 나타난다.

서버를 선택후, 더블클릭을 한다.

서버를 접속한 상태로 있다. 여기서 상대가 정해졌다면 
다음과 같은 단추를 눌러 서버를 활성화한다.




서버가 활성화되면, 아까 복사해놓은 IP address를 다음을 통해 입력한다.(형광펜으로 표시)


로컬 서버로 진입한 상태, 철권 서버에도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이다.


아까 복사해놓은 IP주소를 통해 들어온 모습이다.


나머지는 일반적인 카일레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세이브파일은 오른쪽 shift+f7을 사용하면 된다.


만약 서버를 종료하겠다면 서버를 활성화한 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종료한다.


[테스트 과정2] - 2021-05-25일 발견

금일 생각나서 한번 몇 가지 건드려본 결과 흥미로운 결과를 하나 발견했다.

준비물은 일반 카일레라를 써도 상관없다.

기존처럼 일반 서버에 들어가는데, 조건을 접속속도를 AVERAGE로 설정한 뒤 들어가봤다.

그리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테스트는 한국서버 [Tekken Battle Net]에서 진행되었으며 사람들이 많은 환경에서 진행되었다.

필자의 컴퓨터가 다소 사양이 낮아 PC의 녹화가 진행이 불가능하여 최대한 환경을 재현하기 위해 폰 카메라로 녹화되었음을 밝힌다.


놀랍게도, LAN 방식에서는 버벅거리며 네트워크 게임이 진행이 불가능할 수준으로 프레임이 끊어지던 것이, AVERAGE에서는 기존의 철권 후바 마메처럼 깔끔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무엇이 원인인지는 좀 더 조사해봐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버전은 사운드 구현이 기존의 철권 마메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진 버전인데가, 카일레라를 지원하는 마지막 버전이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무엇을 선택할지는 플레이하는 사람들에게 달려있다.


[마무리]

일단 철권 태그 토너먼트 넷플에 대한 연구가 멈춰져있고 매우 한정적인 자료들이라서 감을 잡기 힘든 것도 있었다. 하지만, 마메라는 범위에 한정되어 있는한 아마 현실적으로 현재 상황에서 크게 벗어난 파이트케이드 등을 활용하는 범위는 아마 오랜 시간이 걸릴것으로 판단이 된다. 몇가지를 건드리는 식으로 소스코드를 뜯어 컴파일이라도 해보겠지만, 필자의 사정상 현실적으로 당장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단은 철권 태그 토너먼트 넷플에 대해서는 여기서 일단락을 짓고자 한다.

당장 스팀등의 플랫폼에서 남코가 정식으로 지원해주는 방향이 아니라면 이 방법이 최선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실제로 필자가 이걸로 테스트를 해본 결과는, 일반 인터넷의 서버를 통한 일반서버 카일레라에서는 상당히 렉이 걸렸는데 이는 레트로아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로컬영역서버에서 이뤄진 넷플레이는 서버와 비교해서 상당히 쾌적한 분위기였다.

만약 철권 서버측이 public설정을 끄고 LAN환경의 서버를 구축해놓는다면 아마 그쪽은 쾌적한 넷플이 가능하리라고 생각이 든다. 

물론 필자의 컴퓨터 내에서만 이뤄진 통신넷플레이라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일단 필자의 한계가 여기까지인 관계로 여기서 연구를 멈추고자 한다.

비록 끝까지 보지는 못하겠지만, 아직 열기가 남아있는 철권 태그1의 넷플이 보다 발전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

댓글 9개:

  1. 요건 좀 어렵긴하네여 좀더 확인하여 테스트 해보도록하겠습니다

    답글삭제
  2. 저거 홍보,배포를못해서 못했던건데요 p2p는 잘되는거에요
    서버만 살아있어으면 되는데 ㅋㅋ

    답글삭제
  3. 작성자가 댓글을 삭제했습니다.

    답글삭제
  4. 답글
    1. 정보 감사드립니다 :)
      그러나, 후바 철권 토너먼트 에뮬레이터는 카일레라라는 미들웨어를 통해 서버를 경유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연결성이 있으며, 그를 보완하기 만들기 위해 P2P 연결방식을 만들었지만,
      현재 IP를 직접 교환하여 연결하는 방식은 정보보안상으로 굉장히 위험한 방식이라 생각했습니다.
      또한 철권 넷플이 가능한 후바 에뮬레이터는 사운드 에뮬레이션이 완벽하게 구동되지 않은 구버전 소스입니다.
      (마메 0.125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해당 사운드 에뮬레이션은 마메 0.136 버전에서 보정되었습니다)
      그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철권 태그 유저분께서 저에게 자문을 구하셨고, 저는 제 나름대로 연구한 결과를 올려드린 것 뿐입니다.
      어떠한 방식을 선택하는 지는 직접 플레이하시는 유저분들에게 달려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삭제
  5. 저 프로그램 달님이 만드신거라 아이피 교환 안하고 카일레라로 방만들고 웹서버에 방생성 되는 방식이라 아이피 공개가 없어요

    답글삭제
  6. 저 프로그램은 웹서버에서 모여서 하면되는데 홍보 배포가 없어서 실패하셨던거죠

    답글삭제
  7. 그리고 철권태그 그래픽플러그 없이해야 키반응이 좋은거 같고 그래픽플러그없이 배포해야 맞나 싶네요

    답글삭제
    답글
    1. 그 부분에 대해서는 아마 철권 넷플 유저분들의 연구가 같이 병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철권넷플에 몸담은 적이 없는 제 입장에서는 명쾌한 답변을 드릴순 없는 주제로군요.
      그래도 그냥그래님처럼 계속 고민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분명 제가 내린 결론보다 더 좋은 결과물이 언젠가는 나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