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글은 2015. 12. 16. 13:26에 작성된 글을 아카이브화를 목적으로 작성되었음을 분명히 밝힙니다]
우선 QUICKTIME플레이어를 요구하는 헛소리를 하는 베가스 9.0을 버리시고 베가스 11부터 쓰시는 걸 추천합니다만 사실 9로 활용하셔도 무방합니다.
허나 저는 제가 사용하는 버전인 베가스 11에 맞춰서 강의글을 작성할 것을 미리 말씀드리고 시작합니다.
우선 여러분들이 기껏 촬영하신 게임 동영상등을 넣는데 별 이상한 오류들을 발견합니다.
바로
QUICKTIME을 요구하는 오류가 대표적인데. 사실 그러한 요소들을 다 때려치우고 형식에 맞는 코덱과 확장자만 있다면 퀵타임 플레이어없이 충분히 동영상을 편집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강의는 베가스의 규격에 맞게 동영상을 팟인코더에서 변환하는 강의입니다.
팟인코더를 동영상에 올립니다.
PC저장용에서 500M 인코딩을 누릅니다. - 사실 안누르셔도 무방하긴 합니다만 이렇게 하면 화질은 별다른 손상없이 500gb이하의 고화질 영상을 쓸수 있어서 편하기는 합니다.
그리고 우측 중앙에 환경설정에 들어갑니다.
베가스는 AVI는 소리만 나오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는 무난하게 MP4로 맞춰서 사용합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은 다음과 같이 맞춰주세요.
비디오 코덱 : MPEG-4 AVC/H.264
오디오 코덱 : Advanced Audio Coding(AAC)
오디오 코덱은 대부분 위의 상기한 코덱으로 만든게 대다수이지만 비디오 코덱은 반드시 위의 코덱으로 해주셔야 베가스가 동영상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본 크기 사용 이라고 체크를 해놓았는데 저는 제 게임영상은 1280*720P의 HD화질로 녹화를 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만일 나중에 유튜브에 업로드할때 720P의 화질태그를 맞추고 싶으시다면 동영상의 세로 크기는 720P로 맞춰주시는 게 좋습니다.
XVID 코덱을 활용하는 것이 제일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코덱을 설치해야 하며 이는 개인 컴퓨터의 사양이나 환경에 따라 상대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본인 PC에 맞는 코덱을 찾아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러면 인코딩 준비는 끝났습니다.
용량을 압축시키는 작업이기 때문에 속력은 1.X대가 한계일 것 입니다.
그동안 커피 한잔 마시면서 동영상의 작업 계획을 성찰하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Q1. 동영상 화질이 급격하게 떨어집니다. 화질은 유지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나요?
PC저장용으로 하여 인코딩을 하시되, 영상화질을 100%로 하여 인코딩을 시도하시면 됩니다.
단, 이 이후로 환경설정에 들어가 코덱 설정을 확실히 하신 후 인코딩을 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과정은 베가스의 기본적인 활용도구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