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28일 월요일

마메 카일레라 넷플 정리표

[본 게시글은 2015. 5. 31. 11:30에 작성된 포스트를 아카이브를 목적으로 작성하였음을 분명히 밝힙니다] 


MAME

MAME+!

MAME+!+!

EKMAME

EK-MAME+

MAMELONA

MAMEUIFX

HOUBA

HOUBA32K

지원시리즈 

 1,2,X,3,4,5

1,2,X,3,4,5

1,2,X,3,4,5

1,2,X,3,4,5

1,2,X,3,4,5 

1,2,X,3,4,5

1,2,X,3,4,5

1,2,X,3,4,5

1,2,X,3,4,5

넷플여부

불가능

불가능

가능

가능

가능

가능

불가능

가능

가능

레벨설정

자유

자유

자유

자유

자유

자유

자유

자유

자유

프로그램접속

X

X

카일레라 

카일레라 

카일레라

카일레라

X

카일레라

카일레라

방생성(서버,P2P)

X

X

양호

양호

양호

양호

X

양호

양호

방접속(서버,P2P)

X

X

양호

양호

양호

양호

X

양호

양호

키설정(넷플) 

해당없음

해당없음

가능

가능

가능

가능

해당없음

가능

가능

자동연사

해당없음

해당없음

병신

병신

병신

병신

병신

병신

병신

싱글주파수

16MHZ고정

16MHZ고정

자유

자유

자유

16MHZ고정

16MHZ고정

16MHZ고정

64MHZ고정 

넷플주파수

X

X

자유

자유 

자유

16MHZ고정

X

자유

16MHZ고정

세이브로드 기능(넷플)

해당없음

해당없음

미확인

미확인

병신인듯

미확인

해당없음

미확인

미확인

리플레이기능

X

X

X

X

O

O

X

X

X

 

참고시 필독.

 

0. 현재까지 나와있는 마메 버전중 가장 널리 퍼져있는 에뮬들을 선정하고 가장 많이 카일레라에서 사용하는 버전들만

추려내서 만든 표이다. 이 표에 있는 에뮬이 전부라고 생각하지는 않길 바란다.

 

1. 주파수는 WINKAWAKS(윈카왁스)를 기준으로 설명. 마메의 경우, 주파수설정을 CPU오버클러킹이라고 하여

CPU clock이라고 칭할때도 있으며 CPU 오버클럭, 오버클럭cpu라고 설정하기도 하는데,

메탈슬러그의 경우, 2개의 CPU오버클럭 슬롯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둘다 최대로 설정해놓아야 카왁스의 64MHZ의 환경으로 게임할 수 있다.

 

2.[자유]의 경유 넷플에서 CPU오버클럭을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유로 명칭해놓는다.

자유라고 칭하기 보다는

[64MHZ 설정 가능. 권장사항]

이라고 받아들이는 편이 옳은 판단이다.

 

3.HOUBA(줄여서 후바)의 경우,

철권을 하는 유저들이 대다수인지라 카일레라 서버중엔 후바,카왁스전용 서버가 따로 존재하여 후바전용서버는

철권태그 토너먼트 유저들이 대다수인데, 그들이 주로 사용하는

모 블로그에서 배포하던 버전(HOUBA32K)을 따로 분류해 두었다.

위의 나머지 에뮬레이터들처럼, 창 크기를 조절하려고 하지만 않다면 넷플이 갈릴 일이 전혀없었다.

다만, CPU오버클럭을 수동으로 놓지 않은 한계점일까. 실제로 넷플에서는 16MHZ에 웃도는 주파수를 보여주었다.

 

4.리플레이기능의 경우, 카왁스의 input record에 해당하는 기능을 지칭한다.

동영상 레코딩 기능을 포함하는 에뮬들이 대다수이나, 쾌적한 게임환경을 위해서는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은 기능이다.

또한 리플레이기능의 경우, 카일레라가 지원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리플레이기능을 지원하는 카일레라를 사용하는 에뮬레이터들을 O라고 표시함.

 

5.주 요점은 이렇다.

5-1. CPU오버클럭기능을 추가한 에뮬레이터만 64MHZ의 팀플이 가능하다.

 

5-2. 마메 카일레라 넷플은 대체적으로 CPU를 50%를 잡아먹는 녀석이다.

마메로 넷플할 경우, 별도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지 않을 것을 권고한다.

물론 아프리카 방송의 경우, 리플기능을 사용하자.(어디까지나 컴퓨터가 잘 따라와준다면 말릴생각은 없다)

 

5-3. 게임 창 크기를 수동으로 설정할 경우 100%로 갈린다. 리플도 마찬가지다.

 

5-4. 서버 핑의 경우, 15~16s의 서버라 할지라도 두사람의 핑이 0이라면, 쾌적하게 팀플을 할 수 있다.

다만 이땐 두사람의 컴퓨터가 유선 데스크탑(인터넷)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노트북의 경우, 유선 인터넷을 사용할 일이 별로 없으니 예외로 친다.

 

 

 

사용법은 카일레라 사용법이 이미 있기 때문에 중복의 우려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자리에선 생략하겠다.

다만 두사람의 싱크를 맞추기 위한 보충설명을 올릴것을 약속하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